최은영, 쇼코의 미소



공감, ‘한가지 공()’자에 느낄 감()’자를 써서 함께 느낀다는 뜻이다. <쇼코의 미소>의 키워드는 공감이다책에 수록된 7편의 단편 속엔 각기 다른 세대와 국적상황을 가진 인물들이 등장한다적지 않은 차이에도 불구하고 인물들은 서로에게 공감하고 이해함으로써 연대한다유감스럽게도 나는 그들의 공감에 연대할 수 없었다작가는 인물들의 공감을 이끌어내기 위해 단순화시키는 방법을 택했는데캐릭터서사문체대사 등이 그렇다

 

그러나 사람은 그렇게 단순한 존재가 아니다단순하게 좋은 사람단순하게 나쁜 사람은 없다인간은 복잡하기 때문에 아이러니하고 아이러니는 서사를 풍부하게 만든다이 사례가 잘 반영된 작품이 박찬욱 감독의 <복수는 나의 것>이다성실한 노동자였던 류(신하균)는 누나의 수술비를 마련하기 위해 역시 성실한 동진(송강호)의 딸을 납치한다이 사실을 안 누나는 자살을 하고 설상가상으로 동진의 딸마저 죽게 된다모든 정황을 알게 된 동진은 류에게 말한다. “너 착한 놈인 거 안다그러니까 내가 너 죽이는 거 이해하지?”

 

선악의 경계가 불분명한 <복수는 나의 것>과는 달리 <쇼코의 미소>에선 그 경계가 분명하고 그들이 행하는 선과 악은 지극히 단순하고 전형적이다. <쇼코의 미소>와 마찬가지로 자기 자신이라는 이유만으로 멸시와 혐오의 대상이 되는 사람이 등장하는 김애란의 <서른>에선 그 자체로 선인 혹은 악인이 아닌 복합적인 인물이 등장한다또한 감정에 호소하거나 감정을 과장하지 않는다대신 자신의 과거를 담담하되 꾸밈없이 고백함으로써 종국에는 더 큰 여운을 남긴다반면 <쇼코의 미소>는 평면적인 인물을 보완하기 위해 마땅히 공감을 불러일으켜야만 하는 상황과 감정을 자꾸만 주입시킨다결국 감정의 과잉은 소설의 주제를 퇴색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.

 

<쇼코의 미소>가 거짓으로 점철된 소설이라는 이야기를 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이 소설에 호의적이지 않은 나조차도 몇몇 문장에는 마음이 움직였으니까결정적으로 7편의 단편과 작가의 말까지 모두 읽고 나서 작가의 내면에 집중해서 쓴 소설이라는 확신이 들었다다만 치열하게 고민한 흔적이 안 보일 뿐이다신형철 평론가가 그랬다타인은 단순하게 나쁘고 나는 복잡하게 좋은 사람이 아니라우리 모두는 복잡하게 나쁜 사람이라고. <복수는 나의 것>과 <서른>은 있는데 <쇼코의 미소>에는 없는 것이 바로 이 문장이다그래서 나는 이 소설에 깊이 공감할 수 없다.